[AWS] EC2 고정 IP 사용하기
안녕하세요. J4J입니다.
이번 포스팅은 EC2 고정 IP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적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.
들어가기에 앞서 다음 글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고정 IP 사용하는 이유
EC2를 이용해 인스턴스를 만들면 기본적으로 인스턴스마다 매핑되는 IP주소가 존재합니다.
위와 같이 생성된 인스턴스를 확인해보면 퍼블릭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스턴스에 접속하고는 합니다.
하지만 여기서 문제점은 할당된 IP가 쉽게 변경될 수 있다는 겁니다.
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인스턴스를 우클릭하면 인스턴스 중지, 시작 등의 작업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여기서 인스턴스를 중지했다가 시작을 하게 되면 IP값이 이전과 다르게 할당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IP가 변경되는 것은 해당 인스턴스에 접속하는 주소 값이 달라지는 것이고 인스턴스에 다시 접속하기 위해서는 변경된 주소에 맞게 재 설정을 해줘야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.
이런 일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고정 IP를 할당해줄 수 있습니다.
고정 IP 설정 방법
[ 1. 탄력적 IP 클릭 ]
EC2 서비스에 들어와서 좌측에 있는 리스트를 아래로 스크롤하면 네트워크 및 보안 탭에 탄력적 IP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[ 2. 탄력적 IP 주소 할당 ]
탄력적 IP 주소 창 우측 상단의 탄력적 IP 주소 할당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.
[ 3. 주소 할당 완료 ]
필요한 사항에 대해 추가 및 변경을 해주면 되지만 일반적으로는 따로 건들지 않고 우측 하단의 할당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.
[ 4. 인스턴스 연결 ]
탄력적 IP 할당이 완료되면 위와 같이 리스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.
할당된 IP를 미리 만들어둔 인스턴스 값에 연결해줘야 하는데 작업 버튼을 클릭한 뒤 탄력적 IP 주소 연결을 눌러주시면 됩니다.
[ 5. 인스턴스 선택 후 연결 ]
연결하고 싶은 인스턴스 값을 선택해주고 프라이빗 IP 주소도 선택해주면 됩니다.
선택이 완료되었다면 우측 하단의 연결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.
[ 6. 인스턴스 IP 변경 확인 ]
인스턴스 목록에서 탄력적 IP를 부여한 인스턴스의 정보를 확인해보면 퍼블릭 IP 주소 값이 탄력적 IP의 주소 값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 상태에서는 인스턴스를 종료했다가 다시 시작하더라도 주소 값이 따로 변경되지 않기에 해당 주소 값을 이용하여 서버에 접근해주시면 됩니다.
이상으로 EC2 고정 IP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.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